간동맥 화학 색전술 입원 과정
(1) 입원일(시술 전일)
1. 우선 입원 생활 안내와 간동맥 화학 색전술 입원 계획표 설명을 받게 된다.
2. 시술에 필요한 깁노적인 검사인 혈액검사, 심전도 검사,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한다.
3. 질병의 현재 상태 및 진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T 또는 MRI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 안전한 CT검사를 위해서는 혈액검사 중 신장 수치 결과를 확인한 후 시행해야 한다.
4. 저녁 8 ~ 9시에 익일 시술을 위해 시술 전/후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시술 전 준비를 하게 된다.
- 처음 시술하는 경우, 동영상 교육 자료를 통해 설명을 듣게 된다.
- 그리고 처음 시술이 아니더라도 간호사에게 요청하시면 언제든 볼 수 있다.
1) 시술 부위 피부 준비(제모) :
저녁 7시 ~ 10시에 시술 준비팀 직원이 양쪽 사타구니에 제모크림을 도포한다.
일정시간(15분 정도)이 지난 후 닦아내거나 씻으시면 된다.
2) 동의서 작성
의사가 시술방법과 부작용 및 합병증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작성하게 된다.
3) 족배 동맥(또는 후경골 동맥) 확인
시술 전 후 맥박상태를 비교(지혈여부, 순환상태 확인) 하기 위해 담당 간호사가
발등의 족배 동맥(또는 후경골 동맥)을 펜으로 표시한다.
4) 수액 요법
시술 과정에 사용되는 약물(항암제, 조영제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녁 9 ~ 10시경 수액을 맞기 시작한다.
5) 시술 일정 안내(오후 6시 이후 알려 준다.)
시술은 오전 : 8시 30분 ~ 12시
오후 : 1시 30분 ~ 5시 사이에 시행된다.
- 오전일 경우 : 자정 이후부터 금식(물 포함) 한다.
- 오후일 경우 : 당일 조식 (가볍게 절반 정도) 후 금식(물 포함)한다.
(2) 시술 당일
1) 시술 전 준비
* 혈액 검사 결과에 땨라 시술 시 지혈을 돕고
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혈을 시행할 수 있다.
혈액이 준비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시술일정이 늦어질 수 있다.
* 속옷, 장신구 제거 :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속옷과 양말, 장신구(시계, 반지,
목걸이, 휴대폰 등), 틀니, 렌즈, 매니큐어 등은
시술 가기 전에 제거해야 한다.
* 시술용 팬티 착용 :
프라이버시 유지와 시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술용 팬티를 착용한다.
* 혈관 조영실에서 연락이 오면 간호사가 알려 드린다.
소변을 보도록 한다.
* 간호사가 진통제와 진토제를 투약한 후엔
침상에서 기다려 주셔야 한다.
약물의 효과로 어지러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직원이 눕는 차를 이용하여 혈관 조영실로 이동한다.
(혈관 조영실 위치를 확인해 놓는다)
* 시술 과정은 보통 2시간 정도 소요되나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시술 후 주의 사항
가) 병실에 도착하면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나) 사타구니에 착용한 모래주머니는 지혈을 위해 적용하는 것이다.
모래주머니를 적용한 다리는 구부리지 않고 편상태로 침상에서 누운 채 3시간 이상 유지한다.
반대편 다리는 구부릴 수 있다.
-> 3시간이 지난 후 간호사가 지혈 여부를 확인하고 제거한다.
안정하는 동안 소, 대변은 누운 상태로 소변기나 대변기를 이용해야 한다.
다) 모래주머니를 적용하는 동안 금식을 유지한다.
시술 시 사용한 약물로 인해 울렁거림, 구토가 발생할 수 있다.
*** 모래 주머니를 제거한 후 물부터 드시고, 이후에는 원하는 식사를 할 수 있다.
라) 모래 주머니를 제거하면 화장실은 갈 수 있으나 가능하면 안정하는 것이 좋다.
시술용 팬티는 제거해도 좋다.
마) 시술 부위 거즈는 124시간 적용한다(지혈밴드가 있어서 지혈을 도와준다.).
3) 시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 및 회복과 관련된 문제점
가) 간암이 괴사 됨에 따라 우 상복부나 심와부, 우측 어깨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며칠 동안 열이 나고 구역질이 날 수 있지만 진통제나 진토제 등의 치료를 3 ~ 4일 내에 호전이 된다.
시술 후 1 ~ 2일 구토가 심할 경우에는 억지로 드시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된다.
수액이 투여되므로 드시지 못하는 것에 걱정하실 필요는 없다.
나) 일부에서는 괴사 된 간암에 세균감염이 동반되어 오한을 동반한 열이 지속적으로 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세밀하게 관찰하여 항생제 치료를 하게 된다.
다) 시술 직후 대퇴 동맥의 지혈 과정에서 서혜부에 혈종이 발생할 수 있다.
라) 이외에 아주 드문 합병증으로 항암제나 색전 물질이 주위 장기에 흘러가서 담낭, 췌장, 위장 등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색전으로 인한 일시적 혹은 영구적 언어, 감각, 운동장애, 마비가 올 수도 있다.
또한 심한 감염에 의한 패혈증이나 신장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3) 시술 후 1 ~ 2일, 퇴원일
1) 시술 결과 및 일정에 대해서는 시술 다음날 회진 시 담당의에 의해 설명을 듣게 된다.
2) 수액을 제거하면 샤워는 가능하다.
3) 시술 부위 거즈는 간호사가 확인 후 제거한다.
4) 치료 효과는 3 ~ 4주 후 시행한 CT나 MRI로 외래 또는 재입원을 통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5) 시술 후 1일 ` 2일에 시행한 혈액검사 상 간기능의 호전과 환자의 증상 호전에 따라 퇴원이 결정된다.
6) 퇴원이 결정되면 담당 간호사가 퇴원안내를 한다.
(아산병원 간센터 자료 참조)
간동맥화학색전술 시술과정
'건강(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경변증(간경화)관리 후기 (0) | 2023.04.04 |
---|---|
#요추수술 퇴원 후 자가 관리 (0) | 2023.03.30 |
#간동맥화학색전술과 시술 과정 (2) | 2023.03.26 |
#알코올 간질환의 일상 생활 관리 (0) | 2023.03.26 |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및 관리 (0)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