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지혈증이란?
혈액검사로만 알 수 있다.
총콜레스테롤 230mg/dl,
중성지방 200mg/dl,
LDL콜레스테롤 150mg/dl 이상일 때룰 말한다.
혈액 속에 지방성분이 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아 높은 상태를 말하며,
최근에는 HDL콜레스테롤이 낮은 경우까지 고려하여 '이상지질혈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지혈증의 합병증
혈액 속에 지방이 많아지게 되면
혈관 벽에 달라붙어 혈관이 좁아지고
탄력성이 없어지면서 굳어지게 되는 동맥경화가 진행된다.
조절하지않으면 협심증, 심근경색같은 심혈관 질환, 뇌졸증(뇌중풍)같은 뇌혈관 질환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 진다.
고지혈증의 치료
(식사요법)
적정 체중을 유지한다.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인다.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는 기름이나 껍질을 제거하고 살코기로 드셔야 한다.
- 유제품은 저지방 제품을 섭취한다.
- 동물성 기름(버터, 돼지기름, 소기름 등) 섭취를 제한하고, 식물성 기름이라도 코코넛유(프림, 초코렛, 비스킷), 팜유(라면)등을 피한다.
-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는 하루 3 ~ 4 작은 술이하로 드시면 된다.
-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포함한 등푸른 생선(참치, 고등어, 꽁치 등)은 충분히 섭취한다.
콜레스테롤 섭취를 제한한다.
- 달걀 노른자는 주2회 이하로 섭취한다.
-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는 오징어, 생선알, 내장 종류 등은 적은 양만 가끔씩 섭취한다.
섬유소를 충분히 섭취한다.
- 섬유소는 혈액 속의 지방 성분을 낮추어 준다.
- 콩류, 신선한 야채, 해조류, 통곡물을 많이 섭취하고, 과일은 저당량만 먹는다.
조리시 주의한다.
- 기름에 튀기거나 볶거나 부치는 대신, 삶거나 찌거나 기름없이 굽도록 한다.
중성 지방이 높은 경우
- 설탕, 탄산음료 등의 단순당 섭취를 줄인다.
- 음주는 반드시 피한다.
(운동요법) - 생활 습관 개선
- 운동을 통해 정상 체중을 유지한다.
- 유산소 운동(속보, 달리기, 계단 오르기, 수영, 테니스, 자전거, 줄넘기, 에어로빅 등)을 1주일에 3 ~ 4회 이상, 1회 30 ~ 60분 정도로 한다.
(약물요법)
- 처음 검사에서 고지혈증이 심한 경우
- 비약물 요법을 수 개월 한 이후에도 고지혈증이 개선되지않는 경우
- 심뇌혈관질환 위험성이 높은 경우
- 당뇨병이 함께 있는 경우
728x90
반응형
'건강(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코올 간질환의 일상 생활 관리 (0) | 2023.03.26 |
---|---|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및 관리 (0) | 2023.03.22 |
#뇌졸중 관리 (3) (0) | 2023.03.17 |
#뇌졸중 원인(위험인자)과 관리 (2) (0) | 2023.03.17 |
#뇌졸중 원인(위험인자)과 관리 (1) (2) | 2023.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