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의미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비알코올 지방간에서 비알코올 지방간염, 비알코올 지방간 연관 간경변증을 포함하는 진단명으로,
술을 전혀 안 마시거나, 알코올 섭취가 남자의 경우 주당 210g,
여자의 경우 주당 140g을 초과하지 않고,
지방간을 초래하는 약물의 복용,
동반된 다른 원인에 의한 간질환 등이
없으면서 간내 지방 침착이 5% 이상인 경우를 정의한다.
(지방이 5%이상이 쌓이면 지방간이라고 한다)
알코올 10g에 해당하는 술의 양 :
맥주 300cc (4.5%)
와인 100cc (13%)
소주 63cc (20%)
위스키 30cc (45%)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위험인자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대사증후군이 주 위험인자이며,
급작스런 체중 감량 후에도 올 수 있다.
대사 증후군 * 허리둘레 : 남자 - 90cm, 여자 80cm 초과 * 중성지방 : 150mg/dl 이상 * 고밀도 저단백 콜레스테롤 : 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mg/dl 미만 * 공복혈당 : 100mg/dl 이상 * 수축기 혈압이 13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85 mmHg f이상 이 중 세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대사증후군 정의 |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자연경과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대부분 양호한 경과를 갖는 반면
일부에서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 같은 말기 간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간세포암은 주로 진행된 섬유화난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되며,
그렇지않은 환자에게는 매우 드룸게 보고된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환자는
일반인보다 전체 사망율이 높고,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심혈관 질환이며,
비알코올 지방간염 환자에서는 간질환 관련 사망율이 증가한다.
또한 당뇨병의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고 알려쟈 있다.
따라서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뿐만 아니라 대사 증후군 관리도 반드시 필요하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증상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급격히 지방이 침착될 경우 간이 팽대되어 간혹 우상복부에 뻐근함, 묵직한 불쾌감이나 피로감, 쇠약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주로는 건강검진 등에서 간기능검사 이상 또는 간종대가 있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진단
1) 문진 및 신체검사
알코올성 간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알코올 심취 여부와 식사, 체중변화, 가족력, 현병력(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확인하고, 체중과 키를 통한 체질량 지수 ㅣㅊ 복부둘레를 측정한다.
BMI(체질량지수) = 몸무게(kg) / 키(m)의 제곱 예)몸무게 : 70kg, 키 170cm -> 70/(1.7)제곱 = 24.2 참고 :성인의 경우 정상체중(18.5 ~ 26), 비만(25이상) |
2) 혈액검사
AST/ALT (GOT/GPT) : 간세포가 손상되면 증가하는 수치이며,
대개 200IU/L을 넘지않고, ALT 수치가 AST수치보다 높다.
3) 복부 초음파 검사
간의 지방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지방간은 정상 간에 비해 하얗고 밝게 보인다.
4) 간 탄성 초음파 검사
초음파를 이용한 간탄성도 측정을 통해 간 내 섬유화 (간이 딱딱한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 방법
5) 전산화 단층 촬영(CT)
간 내 지방의 양을 평가할 수 있다.
6) 간조직 검사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으로 3 ~ 6개월 이상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을 통해 치료 했음에도 물구하고
간기능 검사가 호전되지 않거나
초음파에서 변화가 없을 때
원인의 정확한 진단과 지방간염 혹은 간섬유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간조직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 및 관리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은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의 원인을 치료 및 교정해야 좋아진다.
식이 요법, 운동 요법을 통한 체중 감량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정기적으로 전문의에게 관리를 받으셔아 한다.
1) 체중 감량
과체중 혹은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간 내 지방량을 감소하기 위해 생활습관 교정(체중감량다이어트)을 통해 체중의 5% 정도를 감량해야하며 간 내 염증을 호전시키려면 7 ~ 10 % 이상의 체붕 감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급격한 체붕 감소는 오히려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1주일에 최대 약 1kg의 점진적 체중 감소를 목표로 하는 것이 좋다.
체중감량 다이어트가 된다.
2) 식이 용법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의 치료에 있어 식이 조절은 매우 중요하며,
총 에너지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하루 에너지 섭취 권고량보다 25% 정도 줄여서 섭취( 1일 약 400 ~ 500kcal )하는 거이 적절하다.
최근에는 총 에너지 섭취량 외에도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비만 및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저탄수화물, 저과당 식이 요법을 권장한다.
매일 체중을 재고 섭취한 음식을 기록하는 것은
자신의 식사 습관을 알게 되고 식습관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하루 에너지 권고량 단순계산법 에너지 필요량 = 표준체중 * 35kcal 표준체중 * 남자의 경우 : 표준체중(kg) = 키(m)의 제곱 * 22 * 여자의 경우 : 표준체중(kg) = 키(m) 의 제곱 * 21 |
3) 운동 요법
4) 약물 치료 : 의사의 진단하에 처방
(참고 : B형 간염과 주의사항)
https://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makinghappyworld&from=postList&categoryNo=148
'건강(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동맥화학색전술과 시술 과정 (2) | 2023.03.26 |
---|---|
#알코올 간질환의 일상 생활 관리 (0) | 2023.03.26 |
#고지혈증 환자의 관리 (1) | 2023.03.20 |
#뇌졸중 관리 (3) (0) | 2023.03.17 |
#뇌졸중 원인(위험인자)과 관리 (2) (0) | 2023.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