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워낙 추워지면서 난방에 대한 많은 걱정을 하게 된다.
특히 올 겨울의 한파는 최강한파라고 하여 셰계의 여러가지 사태로 인한 연료비 폭등에 더해서
난방비가 한파 이상으로 우려가 아닌 가시화되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난방비를 아끼려는 여러 가지 절감방법에 지혜를 모으고 있다.
27일 발간한 한국에너지공단의 매뉴얼을 보면 적절한 난방을 위해서는 난방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한다.
난방 부하라는 것은 창문 등으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이나 외부공기가 들어오는 틈새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뜻한다.
겨울철에 실내 난방온도를 1도 낮췄을 때 총 난방비 약 7% 정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 감소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가장 효율적인 난방의 요령을 알아보면,
보일러 온도를 최대한 높여 가동한 뒤에 어느 정도 따뜻해지면 점차 온도를 낮추는 것을 추천한다.
실내공간에서 보일러 온도 사용방벙이라고 한다.
보일러를 운전 시 가습기를 같이 틀어주면 수증기에 의해 실내 습도가 오르게 되고 공기순환의 속도가 빨라져 쾌적성이 상승한다. 겨울철 실내의 적정 습도는 40~60% 정도를 유지하며, 가습기의 위치는 바닥보다는 약간 높은 곳에 위치하는 개 좋다. 거실이나 방바닥, 실내바닥에 카펫, 담요, 러그 등 보온매트 등을 깔아주어 발에서 느끼는 찬 느낌을 없애주고,
열을 차단할 수 있다.
외출 시에 보일러의 상태는 어떻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일지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실내에 없으니 아끼려고 끄는 분들이 있는데, 돌아와서 보일러 동파되는 모습도 볼뿐만 아니라 난방비가 최고 많이 나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외출 시에 보일러를 끄지 말고 실내 온도를 약하게 설정해 유지하거나 외출모드로 하여 난방비 절약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온도조절기는 잠김 상태에서도 미세한 열공급이 이뤄지므로 사용하지 않는 방의 분배기 밸브는 잠그는 게 좋다.
수도꼭지도 사용 후에 냉수방향을 온수방향으로 돌리지 말고 냉수방향으로 돌려놓았는지 확인한다.
온수방향으로 수도꼭지를 돌려놓으면 온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일러가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의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까
지역난방은 열병합 발전소에서 열을 만들어 특정 지역에 공급하는 방식이고 새로 짓는 아파트 단지들이 이방식을 많이 사용했다.
개별난방은 주로 가정에서 쓰는 가스보일러·기름보일러·전기보일러 등을 말한다.
중앙난방은 각 세대의 아파트단지 지하에 난방시설을 갖추고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인데, 이전의 아파트 짓는 방식이 이방식을 사용해 왔다.
이 중에서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개별난방 비중이 가장 많아 난방비 폭탄 얘기가 남의 얘기가 아니다.
지역난방 주택의 경우 바람직한 온도조절은 어떻게 해야 할까.
한겨울에는 온도조절기의 전원을 끄지 않아야 한다.
지역난방은 연속 난방시스템으로 난방 시 일정하게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온도조절을 하고자 할 때 단계적인 방법으로 0.5∼1도씩 온도차의 편차를 작게 해서 설정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래된 보일러(노후보일러)는 비효율적일까
오래되어 노후된 보일러는 가급적 교체하는 게 낫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TV에서 광고를 하여 많이 들어본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는 보일러에서 배출하여 나오는 배기가스의 뜨거운 열을 재이용하여 열효율을 10% 이상 높인다고 한다.
게다가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로 노후 보일러를 교체하면 가구당 10만 원(저소득층 60만 원)의 보조금도 지원받게 된다. 노후 아파트의 경우나 빌라 모두 창문에서 찬바람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데.
창문의 유리창은 외벽에 비해 단열 성능이 훨씬 더 낮고 창문과 벽의 틈새에서 들어오는 바람은 실내 난방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어떤 난방을 하더라도 창문에 뽁뽁이를 붙이면 실내온도가 2-3도 정도의 인상의 효과를 누릴 수 있고, 환가를 자주하여 결로방지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창문 틈에 문풍지를 부착하고, 창문에 두꺼운 커튼을 쳐 난방열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잘 관리를 해야 한다.
앞으로 난방비가 더 오를 전망이라고 하던데,
이전 정부가 국제 에너지 가격이 많이 올랐었지만 이를 요금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것은 결국 한국가스공사 미수금으로 나타나 지난해 약 9조 원이나 불어났다고 한다.
전 세계의 상황도 그렇고 이에 우리 정부는 2026년까지 가스공사의 미수금을 전부 해소하여야 하기에 점진적인 요금 인상을 발표했지만, 갑자기 많은 요금을 부담시킬 수 없어서 올해 1분기에는 물가 부담 등을 감안해 요금을 동결했다고 한다. 올해 2분기 정도부터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에너지바우처 확대 등 정부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는 것은 사실 아닐까
정부가 취약계층에 대한 지역난방요금을 27일 발표 했는데 3월까지 지원액을 최대 12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고, 이와 별개로 집단에너지협회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100억 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했다고 한다.
'떠오르는 삶의 단상(life values) > 사회(siocial comm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얀 머리 수험생의 면접과 탈락 후기 (4) | 2023.03.03 |
---|---|
#연예인과 마약 (3) | 2023.03.02 |
#혼돈의 마스크 선택 (0) | 2023.01.30 |
추운 날씨와 귀경길 (0) | 2023.01.24 |
#명절증후군과 가족의 의미 (0) | 2023.01.23 |
댓글